콘크라베방식이란 무슨 투표방식인지 알아봅시다

콘크라베, 콘클라베 방식이라고 알려져있는 이 투표방식은 새 교황을 선출할 때 시행하는 투표방법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콘크라베의 뜻과 의미,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콘크라베 뜻과 의미는?

  • 콘크라베, 콘클라베(Conclave) : 열쇠로 문을 잠근 방

앞서 말씀드린대로 콘크라베 방식은 새로운 교황을 선출할 때 시행하는 투표 방법입니다. 콘크라베의 뜻은 Cum(함께)와 Clavis(열쇠)의 합성어로 만들어졌습니다.

교황을 선출하는 투표를 할 때 비밀이 보장된 상태인 문을 잠근 방에서 투표를 시행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철저히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투표이기 때문에 콘크라베방식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2. 콘크라베 방식 투표참가 조건

  • 교황의 공석이 최대 20일이 지난 이후 선거 시작
  • 120명 미만의 추기경들이 투표권을 행사
  • 80세 이상의 추기경은 투표에 참가할 수 없음

콘크라베 방식으로 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교황이 선종하거나 사임하여 공석이 될 경우입니다. 교황이 공석이 되면 신속히 위원회가 소집되어 선거준비에 들어갑니다.

이후 120명의 선거인단 추기경들이 모여 기도를 시작하고, 정해진 숙소로 들어가서 투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전파차단기를 동원해서 외부와의 소통을 철저히 막으며, 추기경들은 빵과 음료로 숙소에서 오직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데 집중하게 됩니다.

3. 콘크라베 방식 선거과정

  • 1일차(오후), 2~3일차(오전, 오후) 투표 진행
  • 3일차 오후까지 미선출 시 최대 1일간 휴식
  • 중단 이후 7회 투표를 진행하여 재투표
  • 7회 투표를 3번 간 진행해도 안될 경우 과반수 선정

콘크라베 방식은 1명의 후보가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을때까지 진행하는 투표입니다.

선거가 진행되면 1일차 오후 첫 투표를 시작으로 2일차, 3일차에는 오전과 오후에 투표가 진행됩니다.

만약 교황이 선출되지 않을 경우 최대 1일정도 휴식을 갖고 추기경들끼리 이야기할수있는 시간이 제공됩니다.

그리고 다시 시작하는 투표에서는 7회의 투표를 진행하는데, 그럼에도불구하고 새로운 교황이 선출되지 않는다면 7회 투표를 총 3번 더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투표를 했음에도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은 새로운 교황이 선출되지 않을 경우 과반수 찬성에 의해 새로운 교황이 선출됩니다.

모두가 동의하는 교황을 선출하는 과정이기에 지켜보는 사람조차도 힘들게 느껴지는 콘크라베 방식의 선거제도인데요!

전 인류의 정신적 지주인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인만큼 이러한 과정을 필연적이라 생각이 듭니다.